6월 7일(금) QT 하나님 나라를 기다리는 방법
- Chang Yong Park

- Jun 7, 2024
- 3 min read
"11 그들이 이 말씀을 듣고 있을 때에 비유를 더하여 말씀하시니 이는 자기가 예루살렘에 가까이 오셨고 그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당장에 나타날 줄로 생각함이더라 12 이르시되 어떤 귀인이 왕위를 받아가지고 오려고 먼 나라로 갈 때에 13 그 종 열을 불러 은화 열 므나를 주며 이르되 내가 돌아올 때까지 장사하라 하니라 14 그런데 그 백성이 그를 미워하여 사자를 뒤로 보내어 이르되 우리는 이 사람이 우리의 왕 됨을 원하지 아니하나이다 하였더라 15 귀인이 왕위를 받아가지고 돌아와서 은화를 준 종들이 각각 어떻게 장사하였는지를 알고자 하여 그들을 부르니 16 그 첫째가 나아와 이르되 주인이여 당신의 한 므나로 열 므나를 남겼나이다 17 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다 착한 종이여 네가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하였으니 열 고을 권세를 차지하라 하고 18 그 둘째가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당신의 한 므나로 다섯 므나를 만들었나이다 19 주인이 그에게도 이르되 너도 다섯 고을을 차지하라 하고 20 또 한 사람이 와서 이르되 주인이여 보소서 당신의 한 므나가 여기 있나이다 내가 수건으로 싸 두었었나이다 21 이는 당신이 엄한 사람인 것을 내가 무서워함이라 당신은 두지 않은 것을 취하고 심지 않은 것을 거두나이다 22 주인이 이르되 악한 종아 내가 네 말로 너를 심판하노니 너는 내가 두지 않은 것을 취하고 심지 않은 것을 거두는 엄한 사람인 줄로 알았느냐 23 그러면 어찌하여 내 돈을 은행에 맡기지 아니하였느냐 그리하였으면 내가 와서 그 이자와 함께 그 돈을 찾았으리라 하고 24 곁에 섰는 자들에게 이르되 그 한 므나를 빼앗아 열 므나 있는 자에게 주라 하니 25 그들이 이르되 주여 그에게 이미 열 므나가 있나이다 26 주인이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무릇 있는 자는 받겠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도 빼앗기리라 27 그리고 내가 왕 됨을 원하지 아니하던 저 원수들을 이리로 끌어다가 내 앞에서 죽이라 하였느니라"(누가복음 19장 11~27절)
동상이몽
피카소 그림을 초짜 화가가 다 이해할 수 없다. 인생을 향한 하나님의 큰 그림을 인생은 다 이해하지 못한다. 삭개오의 집에 계신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인자가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10절). ‘듣고 있을 때’(11절)의 헬라어 ‘아쿠온톤’은 삭개오의 집에 모인 사람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있는 시점을 가리킨다.
사람들은 예루살렘 입성을 앞둔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에 잘못된 기대를 하였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만 가시면 로마의 억압에서 해방되리라고 생각했다. 하나님 나라가 즉각적으로 임할 것이라고 착각했다. 이러한 착각은 예수님의 고난에 대해서 바르게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문은 왕위를 받으러 떠난 귀인과 그에게 임무를 받은 종들의 이야기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비유한다. 이 비유를 통해 하나님 나라가 올 때 우리에게 닥칠 일을 말씀하신다.
우리는 신앙생활을 하며 수많은 설교와 성경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다. 보고 듣는 것의 오류 중의 하나는 내가 좋아하는 대로 보는 것이다. 듣고 싶은 대로 듣고 이해하는 것이다. 그렇게 사는 것이 세상에서는 어느 정도 가능하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한치의 오해도 있으면 안 된다.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어떻게 듣고 있는가? 바르게 들을 수 있도록 지금 깨어 있는가?
공평한 한 므나
“인생의 불운이 결과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 니체
하나님의 경륜 속에서도 결과보다 중요한 것은 과정이다. 예수님께서는 멀리 떠나는 귀인과 귀인에게 한 므나씩 받은 열 명의 종의 비유로 말씀하셨다. 귀인인 주인은 열 명의 종들에게 한 므나를 갖고 장사할 공평한 기회를 주었다(13절). 주인이 돌아왔을 때 맡겨진 한 므나에 대한 결과를 내민 종은 두 명뿐이었다. 주인의 말에 순종하여 성실히 장사한 두 종은 각각 열 므나와 다섯 므나를 남겼다. 두 종은 같은 한 므나로 다른 결과를 얻었다. 그런데도 주인은 그들의 성실함을 동일하게 칭찬하셨다.
받은 한 므나를 수건에 쌓아 놓았던 다른 종과 나머지 일곱 종은 아무런 이윤을 남기지 못했다. 이 종은 책임을 주인에게 돌렸다. “주인이 엄한 사람이어서 한 므나를 손해 보면 종 자신이 벌을 받을까 하여 한 므나를 고이 모셔놨다”라고 하였다. 주인을 악한 사람으로 매도하였다. 그 종은 주인이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무지하고 악한 나머지 종들은 귀인이 왕이 되는 것을 거부한 이들과 함께 죽임을 당하였다.
왕위를 받으러 떠난 귀인은 예수님이다. 예수님은 십자가 고난과 죽음, 부활의 사건을 지나 재림을 향한 여정을 떠나신다. 다시 오실 예수님은 반드시 우리와 회계를 하신다(15절). 최종적으로 이 땅에 재림하실 그 날까지 우리는 어떻게 기다릴 것인지 고민하여야 한다. 우리는 맡겨진 사명을 충성스럽게 감당해야 할 종이다. 사명의 한 므나를 어떻게 관리하고 이윤을 남길지는 우리의 몫이다. 주님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많은 이윤이 아니다. 우리의 성실과 충성이다.
“주 예수여 어서 오시옵소서”(계22:20). 예수님의 재림을 고대하는 우리는 ‘나는 청지기’라는 것도 함께 기억해야 한다. 개개인에게 주어진 사명을 완수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 주님 다시 오셨을 때, “잘하였다 착한 종아”와 “악한 종아”중에 어떤 말씀을 들을 수 있을지 매일 점검하여야 한다.
오늘 예수님이 재림하신다면 나는 무엇을 보여드릴 수 있는가? 내게 주어진 한 므나는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Comments